추억 이야기

‘구령’이 무슨 말이래여?

써니케이 2006. 5. 13. 17:02

김 군은 초등학교 때 ‘장(長)’을 맡아본 기억이 없다.

(우리가 몇 학년 때부터 반장이 있었는지? 아는 사람 대답해 보시길...

아니 해 본 사람 자백하시길......)

고등학교 때까지도 반장은 한번도 못해 봤다.

부반장은 한두 번 했지만 반장 못 해 본 것이 많이 아쉽다.

사실 대학에서도 ‘과대표’를 못 했다.

‘못 했다’는 말은 하고는 싶었다는 것을 암시하므로,

실제로는 ‘못 했다’ 30%, ‘안 했다’ 70% 쯤 되리라 생각한다.

그러나 김 군은 무슨무슨 부장이나 학급회의 의장, 그리고

대의원 같은 것은 많이도 했다.

초등학교 6학년 때엔 회장으로 지명된 김정기 군의 적극적인 추천으로

학예부장을 했었다.

(그 추천의 변은 다음 기회에 검토하기로 한다.)


4학년 때부터 김 군의 학교는 특별활동이라는 것을 했다.

김 군은 서예반에 들었다.

미술도 별로였고, 글짓기도 관심이 없었다.

노래 부르는 것도 상당히 쑥스러웠다.

그러나 글씨 쓰는 것은 부모님에게 물려받은 것이 있었는지

나름대로 괜찮았다.


첫 시간이었다.

우리들이 최고 학년이었고, 후배들도 여러 명이 있었다.

지도 선생님의 이름이 잘 기억 나지 않지만

마른 체격에 얼굴이 검고 목소리가 약간 허스키하며 높으신 분이셨다.

우리들 담임을 하신 분은 아니었다.

첫 시간에는 초록색 천을 책상 위에 깔고,

거기에 신문지를 펴 놓은 다음에

기본적인 획 긋기를 했다.

아마도 간단히 ‘우리 나라’ 이런 글자를 썼을 것이다.

검은 색 먹을 갈면, 약간 향긋한 냄새가 났다.

그러나 근묵자흑(近墨者黑)이란 말도 있듯이

언제나 어딘가엔 먹물의 흔적이 남아 있었다.


시간을 마칠 때에 선생님은 정리를 하기 위해

서예반의 대표를 뽑으셨다.

잠깐의 생각 끝에 선생님은 김 군을 지명했다.

다 일어섰다. 이제 인사만 하면 되었다.

뭐가 되냐면, 김 군이 서예반의 대표로 확정되는 일과

첫 시간을 마치는 일이 되는 것이다.

선생님은 김 군에게 말씀하셨다.

“구령을 붙여 봐!”


김 군은 선생님의 말씀에 멈칫거렸다.

아무런 반응이 없자 이내 시선이 김 군에게 모였다.

김 군은 표정은 상기 되었으나,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.

한 1분쯤 되었을 것이다.

선생님은 촛대를 옮기고야 말았다.

김 군보다 조금 더 큰 김양은 군에게

“네가 해 봐!”라 하셨다.

김양은 군은 큰 키에 걸맞게 ‘구령’이란 걸 ‘붙여냈다.’

“차려! 선생님께 경례!”


아뿔싸!

김 군은 원통했다.

‘차려’도 알고, ‘경례’도 아는데,

그리고 ‘구렝이’도 아는데,

‘구령’을 몰랐던 것이다.

그걸 ‘붙이라니!’

무슨 딱풀도 아니고, 스티커도 아닌 ‘구령’을 말이다.


한번 옮겨간 촛대는 다시는 되돌아올 줄 몰랐다.

마치 ‘구령’이 자신을 몰라본 김 군을 비웃고,

철저히 따돌리기라도 하는 듯 말이다.

그 이후로 김 군은 구령과는 영 인연을 맺지 못하고 말았다.

남들 다 가는 군대에도 못 갔으니 말이다.

그나저나 그 날 이후

김양은 군은 어떤 인연으로 구령과 더불어 살아갔는지 궁금하다.

'추억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축구에 관한 단상  (0) 2006.05.17
미륵산의 포 소리  (0) 2006.05.13
손금 본 이야기 - 문필가가 되리라  (0) 2006.05.12
‘가다’의 반대말은 ‘안 가다’  (0) 2006.05.12
교실에 남은 사연  (0) 2006.05.08